본문바로가기 글로벌 네비게이션 하단영역
학회소개 학회연혁
회원가입   현대영미소설학회

 

1992. 9. 5.

학회 창립총회: 회장단 선출

회 장 : 나영균(이화여대)부회장 : 이상옥(서울대)총 무 : 김성곤(서울대)재 무 : 장정남(성균관대)섭 외 : 정덕애(이화여대)편 집 : 권택영(경대)

김욱동(서강대) 김정숙(홍익대)감 사 : 최진영(중앙대) 김명렬(서울대)

 

1993. 3. 27.

Toni Morrison의 Beloved에 대해 / 나영균(이화여대)

 

1993. 6. 26.

Under the Net에 관한 一考: 리얼리티와 소설의 언어가 하는 일 / 장정남(성균관대)

 

1993. 9. 18.

Kurt Vonnegut의 Mother Night에 나타난 정신분열증과 망상성 정신증 / 왕 철(전북대)

 

1993.11. 6.

현대 미국소설, 어디로 가고 있는가? Doris Lessing의 The Grass is Singing론 / 김성곤(서울대)

민경숙(이화여대)

 

1994. 4. 24.

이성과 비이성: John Fowles의 A Maggot에 대하여 / 이귀우(서울여대)

 

1994. 6. 4.

Ethan Frome에 나타난 개인과 사회의 문제 / 김욱동(서강대)

 

1994.10. 15.

해방의 텍스트: 존 파울스의 {프랑스 장교의 정부} / 김정매(동국대)고고학인가, 환상인가?

-토머스 핀천의 {브이}에 나타난 제국주의 역사성 / 박은정(외대)

 

1995. 4. 29.

Lawrence Durrell's The Alexandria?Quartet as a Never-Ending Story / 홍성주(한양대)Kingsley Amis와 1950년대 영국소설 / 홍덕선(성균관)

D.H. Lawrence 의 소설론 / 유두선(홍익대)Body Mystique: Sexuality in SelectedNovels of Nadine Gordimer / 조청희(경희대)

 

1995. 9. 30.

학회 총회: 신임 회장단 선출 회 장: 나영균(이화여대)부회장: 이상옥(서울대)총 무: 정상준(서울대)섭 외: 정덕애(이화여대) 감 사: 김길중(서울

대) 김정매(동국대)편 집: 채수환(홍익대) 왕 철(전북대) 이귀우(서울여대)

 

1995.12.2.

The Romance of the FBI: New York Times / 정상준(서울대)Coverage of the Rosenberg Case 과거의

유령과 현재: Toni Morrison의 Beloved / 이귀우(서울여대)Faulkner의 희생제의-- 폭력과 희생양의

메커니즘 / 한은구(대림전문대)Kurt Vonnegut의 {명사수의 인생(Deadeye Dick)}연구 / 박정오(이화여대)

 

1996. 3. 23.

Gayl Jones의 Corregidora에 나타난 "Blues"적 요소 / 윤정길(성신여대)Freud의 "uncanny"와 Tony Morrison의 Beloved / 권택영(경희대)

 

1996. 5. 25.

Hemingway and the Trap of Masculinity / 문상영(연세대)내재, 초월 혹은 사람짐, 그 이후: James Joyce의 "The Sisters"와 Thomas Pynchon의 V., The Crying of Lot 49에 나타난 계시와 인식의 문제들 / 박인찬(숙명여대)

 

1996. 10. 12.

학회 총회

 

1996. 11.30.

The Unrepresentability of the 'Real' in Flaubert's Parrot by Julian Barnes / 전은경(숭실대)Heart of Darkness Revisited: V.S. Naipaul's A Bend  in the River / 김순식(명지대)

 

1997. 5. 10

제 1차 현대영미소설학회 학술대회영미 모더니즘 소설의 전통: Conrad, Lawrence, Joyce, Woolf, Faulkner

■ 오전 모임사회: 김길중(서울대)논문: John Cussen (University of Maryland):"Bloom's Drunk: A Rereading of the 'Eumaeus' Episode of 

Joyce's Ulysses"양영수(제주대):"A Comparative Study of Lawrentian and Taoistic Ideas"토론: 전은경(숭실대) 유두선(홍익대) 

 

■ 오후 모임 사회: 유선모(경기대)논문: 임옥희(경희대): [Orlando: Virginia Woolf의 양성성을 중심으로]박정오(이화여대):[망각의 벽에  

생긴 자국--Faulkner의 반복기법과 신화적 시간]왕철(전북대): [Conrad와 Achebe의 대화적 관계]

토론: 정덕애(이화여대) 강희(대구대) 박종성 (서강대)

학회임시총회

 

1997. 11. 8.

제2차 현대영미소설학회 학술대회영미 모더니즘과 그이후: Conrad, Beckett, Delillo, Silko, Morrison, Naipaul, Coetzee

■ 오전 모임사회: Peggy Cho (경희대학교)논문:"Killing Work: A Question of Labor in Lord Jim" / Anderw Lynch (홍익대) "lacking seriousness: beckett's belacqua and yeats's hanrahan" / John Cussen (건국대) 토론: 전수용 (경희대학교) 김화순 (인천대학교) 

■ 오후 모임

사회: 김지원 (세종대학교)논문: [자기만의 방, 감옥? 그리고 죽음: 현대 소비사회에서의 체제와 인간주체--Don Delillo의 End Zone, White Noise, Libra를 중심으로] / 박은정(한국외국어대)[Leslie M. Silko의 Ceremony:After-Modernism시대의 글읽기 의식] / 홍성주 (한양대학교)[이산의 보편성: V.S. Naipaul의 In a Free State] / 박종성 (서강대학교)[혼성소설속의 타자: Toni Morrison과 J.M Coetzee] / 권택영

(경희대학교)토론: 박인찬 (숙명여자대학교) 문상영 (연세대학교) 김순식 (명지대학교) 왕 철

(전북대학교)

 

1998. 5. 9.

제3차 현대영미소설학회 학술대회

■ 모더니즘, 탈모더니즘, 페미니즘:Lawrence, Lowry, Thomas, Atwood, Tan

■ 오전 모임사회: 신문수 (서울대학교)논문:[Lawrence의 {사랑하는 여인들}--억제된 동성애의 의미를 찾아] / 강 희 (대구대학교)[파시즘, 알코올 중독증, 메타픽션 간의 상호관련성--Malclm Lowry의 Under the Volcano] / 박종성 (서강대학교)토론: 신명아 (경희대학교) 전수용 (이화여자대학교)

■ 오후 모임 사회: 윤정길 (성신여자대학교)논문:

[에로스, 죽음 (Thanatos), 그리고 프로이트--D.M. Thomas의 The White Hotel] / 전은경 (숭실대학교)[The Handmaid's Tale에 나타난 여성적 말하기와 글 쓰기에 관한 연구-- 여성해방주의와 탈모더니즘의 교차로에서] / 이소희 (한양여대)"Amy Tan's The Joy Luck Club: A Quintessential Asian-American Discourse" / 이기한 (명지대학교)토론: 홍덕선 (성균관대학교) 이귀우 (서울여자대학교)임진희 (남서울산업대학)

 

1998. 11. 21.

제4차 현대영미소설학회 학술대회

■ 주제: 모더니티에서 포스트모더니티로

■ 오전 모임사회: 윤정길 (성신여자대학교)논문: [살인자들]에도 작가의 흔적이 있는가? / 김지원(세종대학교)로맨스와 풍자 ― Kurt Vonnegut, Jr.의 {제 5 도살장} / 박병주 (충주대학교)토론: 문상영 (연세대학교) 한은구 (대림대학)

■ 오후 모임사회: 윤정길 (성신여자대학교)논문: Thomas Pynchon과 과학기술의 문제 / 강규한

(서울대학교)아시아계 미국문학에 나타난 유동적 자아의 다성적 표현 / 임진희 (남서울대학교)토론:

박은정 (서울대학교) 권혁경 (안산전문대학) 임진희 (남서울산업대학)

■ 총회: 회장추대 및 임원진 교체

회 장: 이상옥(서울대)부 회 장: 김정숙(홍익대)총무이사: 박인찬(숙명여대)섭외이사: 전수용(이화여대)편집이사: 고부응(서울여대)구은숙(청주대)전은경(숭실대)조철원(인하대)감 사: 이귀우(서울여대)정상준(서울대)

 

1999. 5. 8.

제5차 현대영미소설학회 학술대회

■ 주제: 모더니티에서 포스트모더니티로(Ⅱ)

■ 장소: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관 112호

■ 오전모임사회: 전수용(이화여대)논문:1) 전기(前期) 말로우의 서술 연구 / 강석진(위덕대)2) 버지니아 울프와 제국의 문제: Jacob's Room의 경우 / 김채남(한국외대)3) The Black Prince에 나타난 아이리스 머독의 자기부정 / 이영석(아주대)토론: 김종석(고려대), 이소희(한양여대), 전은경(숭실대)

■ 오찬 및 총회

■ 오후모임(Ⅰ)사회: 홍덕선(성균관대)논문:1) 버나드 맬라머드의 삶과 예술 / 송태정(대불대)2) 토마스 핀천의 『중력의 무지개』: 로켓과 집단적인 패러노이아 / 이정희(숙명여대)토론: 이수현(한국과기원), 강규한(천안대)

■ 오후모임(Ⅱ)사회: 홍덕선(성균관대)논문:1) 진 뤼즈의 일탈: 마리아와 앙뚜와넷의 같은 여정, 다른 결말 / 홍성주(한양대)2) 문화적 충돌과 서술의 뿌리 / 권택영(경희대)토론: 김순식(명지대), 이귀우(서울여대)

 

1999. 11. 13.

제6차 현대영미소설학회 학술대회

■ 주제: 생태소설의 열린 지평-인간과 환경의 새로운 만남을 위하여-

■ 장소: 숙명여자대학교 교수회관 101호

■ 오전모임사회: 박인찬(숙명여대)논문:1) 문학생태학의 범주와 성격 / 김욱동(서강대)2) Definitional Moments: Early Modern Nomenclature and Ecocriticism/ Simon Estok(청운대)토론: 정정호(중앙대), Peggy Cho(경희대)

■ 오찬 및 총회

■ 오후모임(Ⅰ)사회: 전은경(숭실대)논문:1) 『율리씨스』에 있어서 생명의 흐름 / 이종일(서울대)2) 생태학과 포크너: “The Bear”를 중심으로 / 신명아(경희대)토론: 홍덕선(성균관대), 박정오(명지대)

■ 오후모임(Ⅱ)사회: 전은경(숭실대)논문:1) 『타나토스 증후군』과 워커 퍼씨의 생태학적 관심 / 박정미(카톨릭대)2) A Thousand Acres의 에코페미니즘 / 이귀우(서울여대)토론: 강규한(천안대), 박은정(광운대)